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Dit
- 컴퓨터네트워크
- DEEPLEARNINGINSTITUTE
- 컴퓨터
- DeepLearning
- Developer
- Ai
-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인공지능 교육
- 대학수업
- IOT
- 네트워크
- Back-End
- 딥러닝
- NVIDIADLI워크숍
- 컴퓨터수업
- pc
- DEEP LEARNING INSTITUTE
- 운영체제
- Network
- DLI워크숍
- 컴퓨터운영체제
- front-end
- nvidia
- it
- ICT
- Stem
- 파이썬
- Python
- NVIDIA DLI워크숍
- AI프로그래밍
- Today
- Total
Coding Story
[Python] AI를 활용한 무인이동체 개발 교육 4일차 (22.03.30) 본문
1) 기본 자료형 종류, 자료형 확인, 자료형 변환
ㆍText type : 문자열(str)
ㆍNumeric Types : 정수(int), 소수(float), 복소수(complex)
ㆍSequence Types : 리스트(list), 튜플(tuple), 범위(range)
ㆍMapping Type : 딕셔너리(dict)
ㆍSet Types : 집합(set), 프로즌셋(frozenset)
ㆍBoolean Type : 불리언(bool)
ㆍBinary Types : 바이트(bytes), 바이트 배열(bytearray), 메모리뷰(memoryview)
>>> type(x), type("DIT") #자료형 확인
자료형 종류 | 설 명 | |
문자열 자료형 (Text Type) |
문자열 (str) | 문자열을 문자열로 변환하는 자료형 |
수치 자료형 (Numeric Types) |
정수 (int) | 정수를 저장하는 자료형 |
소수 (float) | 실수를 저장하는 자료형 | |
복소수 (complex) | 복소수를 저장하는 자료형 | |
시퀀스 자료형 (Sequence Types) |
리스트 (list) | 원소들이 연속적으로 저장되는 형태의 자료형 |
튜플 (tuple) | 불변한 순서가 있는 객체의 집합 | |
범위 (range) | 연속적인 숫자 객체를 만들어서 반환해주는 함수 | |
매핑 타입 (Mapping Type) |
딕셔너리 (dict) | immutable한 키(key)와 mutable한 값 (value)으로 맵핑되어 있는 순서가 없는 집합 |
집합형 타입 (Set Types) |
집합 (set) | 집합에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든 자료형 |
프로즌 셋 (frozen set) | 한번 항목들을 가지고 객체를 만들면 변경할 수 없는 집합 객체 |
|
기본 데이터 타입 (Boolean Type) |
불리언 (bool) | 참 / 거짓을 가지는 자료형 |
바이너리 타입 (Binary Types) |
바이트 (bytes) | 1바이트 단위의 값을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시퀀스 자료형 |
바이트 배열 (bytearray) | 1바이트 단위의 값을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시퀀스 자료 |
|
메모리뷰 (memoryview) | 외부의 자료를 읽어들일 때, 메모리에 복사, 저장하는 것이 아닌, 중간 단계인 버퍼에 저장하는 객체 |
※ 위의 표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(설명은 구글에서 가져왔으니 자세한 건 다른 개발자분들꺼 참고 바람!)
2) 기본 자료형 종류, 자료형 확인, 자료형 변환
ㆍ>>> 'dit' is "DIT" #문자열 값은 '또는 "로 표현
ㆍ>>> mline = """ 여러 줄의
텍스트를 입력하는
방법은 다음과 같다.""" #''' ........ ''' 동일한 방법
ㆍ>>> st = "DIT"
ㆍ>>> print(st[1]) #문자열은 배열, 인덱스로 문자 접근
ㆍ>>> print(len(st)) #문자열의 길이 변환
ㆍ>>> 'I' in 'DIT' #문자열 포함여부 확인
3) 문자열(String) 탐구 2 (문자열 자르기)
ㆍ>>> st = "Hello, Python"
ㆍ>>> st[1:4] # 'ell' , 1<=index<4
ㆍ>>> st[:4] # 생략하면 처음부터 또는 끝까지
ㆍ>>> st[3:] #
ㆍ# Negative Index는 마지막 원소(-1)부터 역방향으로 -1씩
ㆍ>>> st[-1] # 마지막 원소
ㆍ>>> st[-2] # 끝에서 두번째 원소
ㆍ>>> st[:-2] # 처음부터 마지막 두번째 원소 앞까지
4) 문자열(String) 탐구 3 (문자열 처리함수)
ㆍ>>> st = "Hello, Python"
ㆍ>>> st.upper # 모두 대문자로 변환
ㆍ>>> st.lower() # 모두 소문자로 변환 (원본은 유지)
ㆍ>>> st2 = " Hello Python "
ㆍ>>> st2.strip() # 문자열의 시작, 끝 부분 여백 제거
ㆍ>>> st2.replace("l", "L") # 문자열 치환
교육의 목적은 비어 있는 머리를 열려 있는 머리로 바꾸는 것이다.
Education's purpose is to replace an empty mind with an open one.
'University Study > AI복합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AI를 활용한 무인이동체 개발 교육 6일차 (22.04.06) (0) | 2022.04.06 |
---|---|
[Python] AI를 활용한 무인이동체 개발 교육 5일차 (22.04.05) (0) | 2022.04.05 |
[Python] AI를 활용한 무인이동체 개발 교육 3일차 (22.03.29) (0) | 2022.03.29 |
[Python] AI를 활용한 무인이동체 개발 교육 2일차 (22.03.23) (0) | 2022.03.23 |
[Python] AI를 활용한 무인이동체 개발 교육 1일차 (22.03.22) (0) | 2022.03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