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it
- Ai
- DLI워크숍
- 컴퓨터
- Python
- nvidia
- 컴퓨터운영체제
- NVIDIA DLI워크숍
- 운영체제
-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인공지능 교육
- Network
- 딥러닝
- DeepLearning
- front-end
- pc
- 컴퓨터수업
- 대학수업
- DEEP LEARNING INSTITUTE
- NVIDIADLI워크숍
- 파이썬
- Stem
- Dit
- AI프로그래밍
- Back-End
- 컴퓨터네트워크
- IOT
- DEEPLEARNINGINSTITUTE
- ICT
- 네트워크
- Developer
- Today
- Total
코딩 이야기
[Python] AI를 활용한 무인이동체 개발 교육 3일차 (22.03.29) 본문
1) 변수와 값, 이름의 정의
- 변수 :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붙인 것
- 값 : 수(Number) 또는 문자열(String)
- 이름 : 변수명
>>> a = 100
>>> name = "홍길동"
2) 변수명(식별자) 작명 규칙
- 영문자(대, 소문자 구분), 숫자, 밑줄 문자(_)만 사용
- 공백이 중간에 들어가면 안됨
- 숫자로 시작하면 안됨
- 유효한 식별자 : sum, _count, number_of_pictures, ...
- 잘못된 식별자 : 2nd_base, money#, my name, ...
3) print()로 변수의 값 출력하기
>>> a = 100
>>> b = 200
>>> sum = a + b
>>> print(a, " + ", b, " = ", sum)
※ Python은 세미콜론(;) 안 찍는다.
4) print() 함수의 숨은 기능들
>>> a, b = 10, 3.1415 # a ← 10, b ← 3.1415
>>> print("a=%4d, b=%10,.2f"%(a,b))
>>> print("a={}, b={}".format(a,b))
>>> print("b={1}, a={0}".format(a,b))
>>> print("b={x}, a={y}". format(a,b))
>>> print("'DIT'")
>>> print('"DIT"')
>>> print("Hello Python", end='!!!')
>>> print("Korea", "Japan", "China", sep="/") ** /는 구분자 (Sep(Separation)) 로써 항목을 구분할 때 사용한다.
5)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: input()
>>> name = input("당신의 이름은 :")
>>> print("안녕하세요 {}씨!".format(name);
>>> a = input("정수 입력:")
>>> print("{ } + 10 = {}".format(a, a+10))
ㆍ input()은 '문자열'로 입력받음
ㆍ 수가 필요하면 입력 문자열을 int(), float() 등으로 변환 사용
>> a = int(input("정수 입력:"))
6) 반복문 for (1)
ㆍ 주어진 시퀀스(Sequence)의 항목 순서대로 반복 처리
- sequence → list, tuple, set, dictionary, string, ...
- 위의 sequence 데이터 유형에 대해서는 별도로 공부 예정
ㆍ 문법 : for item in sequence
- sequence의 첫 항목부터 순서대로 item에 저장하여 반복 처리
- 반복할 내용은 반드시 한 탭(tab) 들여쓰기
예) for fruit in ["apple", "banana", "mango"]
7) 반복문 for (2), range() 함수 활용
ㆍ 함수 range(start=0, stop, step=1)
- a sequence of number 변환
[ 활용 예제 ]
Q1. 한 변의 크기와 변의 수를 입력받아 다각형을 그려보자.
A1.
훌륭한 가르침은 1/4이 준비 과정, 3/4은 현장에서 이루어진다.
Good teaching is one-fourth preparation and three-fourths theater.
'University Study > AI복합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AI를 활용한 무인이동체 개발 교육 6일차 (22.04.06) (0) | 2022.04.06 |
---|---|
[Python] AI를 활용한 무인이동체 개발 교육 5일차 (22.04.05) (0) | 2022.04.05 |
[Python] AI를 활용한 무인이동체 개발 교육 4일차 (22.03.30) (0) | 2022.03.30 |
[Python] AI를 활용한 무인이동체 개발 교육 2일차 (22.03.23) (0) | 2022.03.23 |
[Python] AI를 활용한 무인이동체 개발 교육 1일차 (22.03.22) (0) | 2022.03.22 |